본문 바로가기
Orthopaedics

발 볼 통증을 무시하면 안 되는 이유

by 세모정남 2025. 3. 11.

발 볼 통증을 무시하면 안 되는 이유
발 볼 통증을 무시하면 안 되는 이유

 

발 볼 통증과 발등의 부기는 흔히 발생하는 증상이지만, 종종 잘못 진단됩니다. 이 증상의 원인 중 하나는 족저판 파열(Plantar Plate Tear)로, 갑작스럽게 발생할 수도 있고, 오랜 시간 반복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족저판은 발바닥 아래에 있는 섬유질 구조로, 발가락 뼈와 발뼈 사이의 관절(중족지절 관절, metatarsophalangeal joint)을 지지하고 안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구조는 콜라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발가락을 곧게 유지하고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족저판 파열의 원인

족저판 파열은 주로 세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1. 구조적 문제

  • 무지외반증(엄지발가락이 휘어지는 변형)
  • 교차 변형(한 발가락이 옆 발가락 위로 겹치는 현상)
  • 이러한 구조적 문제는 발바닥 앞부분에 과도한 압력을 가하여 족저판 파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외상(부상)

  • 강아지 줄에 걸려 넘어지거나,
  • 달리던 중 발바닥 앞쪽에 날카로운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등
  • 이처럼 갑작스러운 부상으로 인해 족저판이 찢어질 수 있습니다.

3. 만성적인 반복적 스트레스

  • 나이가 들면서 족저판이 점차 약해지고 찢어지기 쉬워짐
  • 특히 45세 이상 성인, 오랜 시간 발바닥 앞부분을 사용하는 직업군(예: 사다리를 자주 이용하는 작업자, 하이힐을 자주 신는 사람)에서 발생 가능성이 높음
  • 발가락을 자주 구부리는 습관이 있는 사람도 위험군에 속함

족저판 파열은 두 번째 발가락 아래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지만, 다른 발가락 아래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족저판 파열이 잘못 진단되는 이유

족저판 파열은 매우 흔한 질환이지만, 정확한 진단이 어렵습니다. 많은 환자들이 수개월 동안 자신이 왜 아픈지 모른 채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족저판 파열은 다음과 같은 질환으로 오진될 수 있습니다.

  • 신경종(Neuroma): 신경이 눌려 발생하는 통증
  • 중족통증(Metatarsalgia): 발바닥 앞부분의 염증으로 인한 통증
  • 관절염(Arthritis): 관절의 염증 및 변형

 

 

족저판 파열의 치료 방법

족저판 파열은 신체검사, 병력 청취 및 X-ray 검사를 통해 진단됩니다. 필요에 따라 MRI나 초음파 검사가 추가될 수도 있습니다.

1. 비수술적 치료

  • 발가락 위치 교정: 발가락을 정상적인 위치로 맞추어 찢어진 족저판을 붙게 함
  • 테이핑 요법: 발가락을 약 10도 아래로 구부린 상태에서 크로스 테이핑하여 고정
  • 보조기구 사용: 족저판을 보호하고 발가락을 올바른 위치에 유지하는 스플린트(보조기)
  • 신발과 깔창 조정:
    • 딱딱한 바닥의 신발 착용
    • 중족골 패드가 포함된 깔창 사용

보통 3~6개월 동안 이러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며, 통증이 줄어드는지 확인합니다.

 

2. 수술적 치료

만약 위의 치료 방법으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이미 발가락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다른 발 변형 치료와 함께 진행될 수도 있습니다.

 

 

결론

발바닥 앞부분 통증을 무시하면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통증을 줄이고 발의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지속된다면 즉시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발 볼 통증을 무시하면 안 되는 이유